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방송통신대학교
- 선형대수
- mpnp
- 프로그래머스
- LV1
- 방통대
- omscs
- Plotting
- LAA
- C++
- 알고리즘
- 주정부이민
- 컴퓨터과학과
- 캐나다 영주권
- zeros
- 개발자
- leetcode
- 기본
- EOI
- 머신러닝
- machine learning
- Deep learning
- 딥러닝
- 조지아텍
- 코딩테스트
- 매트랩
- MATLAB
- 위니펙
- cpp
- 온라인석사
Archives
- Today
- Total
Byte by Byte
tar - 아카이브 관리 도구 UNIX / LINUX 본문
`tar`는 "tape archive"의 약자로, 다수의 파일과 디렉터리를 하나의 아카이브 파일로 묶거나 해당 아카이브를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유닉스 및 리눅스 기반 시스템에서의 표준 도구입니다.
`tar`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여 아카이브 생성, 추출, 보기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:
1. 아카이브 생성:
tar -cvf output_name.tar directory_or_file_to_archive
2. 아카이브 압축 (gzip 사용)
tar -czvf output_name.tar.gz directory_or_file_to_archive
3. 아카이브 추출:
tar -xvf archive_name.tar
4. 압축된 아카이브 추출 (gzip 사용):
tar -xzvf archive_name.tar.gz
5. 아카이브 내용 보기:
tar -tvf archive_name.tar
여기서 옵션들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`-c`: 아카이브 생성 (create)
- `-x`: 아카이브 추출 (eXtract)
- `-v`: 상세한 출력 (Verbose)
- `-f`: 파일 이름 지정 (File)
- `-z`: gzip 압축/압축 해제 사용 (gZip)
- `-t`: 아카이브 내용 보기 (lisT)
`tar`는 아카이브를 생성하거나 관리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로, 많은 리눅스 배포판과 UNIX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됩니다.
'개발 로그 > UNIX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charm virtual env 사용과 터미널 호환 유지하기 (0) | 2025.02.14 |
---|---|
윈도우 WslRegisterDistribution fail 오류 해결방법 (0) | 2024.08.29 |
GUI (Graphical User Interface)란? (0) | 2023.09.08 |